뉴스를 보다 보면 익숙한데 정확한 뜻을 모르는 단어가 참 많습니다.
“긴축정책?”, “무역수지?”, “외교 결례?” 머릿속에서 대충 짐작은 가지만, 막상 누가 뜻을 물으면 설명하기 어렵죠.
이번 포스팅에서는 뉴스에서 자주 등장하는 용어들 40개를 경제, 정치, 사회, 국제, 환경 5개 분야로 나눠, 쉽고 명확하게 정리해드립니다.
① 경제 뉴스 용어 – 돈, 금리, 무역 관련
- 긴축정책 : 정부가 돈을 조이는 정책 (예: 물가가 올라 긴축정책 시행)
- 기준금리 : 중앙은행이 정하는 기준 금리 (예: 대출이자에 영향)
- 인플레이션 : 물가가 전반적으로 상승 (예: 장바구니 물가 부담)
- 디플레이션 :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 (예: 소비심리 위축)
- 무역수지 : 수출 - 수입 차이 (예: 흑자/적자 여부 파악)
- 환율 : 외국 돈과의 교환 비율 (예: 달러 환율 상승 시 여행비 증가)
- GDP : 국내총생산. 한 나라의 경제 규모 지표
- 고금리 : 이자가 높은 상태 (예: 대출 부담 증가)
② 정치·사회 뉴스 용어 – 정부, 법, 사건 중심
- 여야 : 여당과 야당 (예: 여야 합의 불발)
- 공청회 : 법안이나 정책 전, 국민 의견 수렴 회의
- 국정감사 : 국회가 정부 부처 운영을 점검
- 비리 : 부정하고 나쁜 행위 (예: 뇌물, 횡령 등)
- 기강 해이 : 조직 내 규율이 무너짐
- 검찰 수사 : 검찰이 사건을 조사하고 기소 여부 판단
- 청문회 : 고위직 후보자 인사 검증 회의
- 탄핵 : 공직자에게 법적으로 책임을 묻는 절차
③ 국제·외교 뉴스 용어 – 세계 정세 관련
- 외교 결례 : 외국과의 관계에서 예의 없음 (예: 정상회담 결례 논란)
- 경제 제재 : 특정 국가에 무역/금융 제한 조치
- 중재 : 두 나라 사이 분쟁을 조정
- 수교/단교 : 외교 관계를 시작/끊는 것
- G7, G20 : 주요 국가 모임 (선진국 경제 협의체)
- 정상회담 : 각국 지도자 간의 공식 회담
- 다자외교 : 여러 국가가 참여하는 외교 형태
- 평화협정 : 분쟁 종결 및 평화 유지 협약
④ 환경·사회이슈 용어 – 기후, 재난, 정책 관련
- 기후위기 : 이상기후와 지구온난화가 일으키는 위협
- 탄소중립 : 온실가스 배출량을 0으로 맞추는 정책
- 재난지원금 : 자연재해나 경기침체 시 정부가 지원
- 사회적 거리두기 : 감염병 확산 방지를 위한 조치
- 국민청원 : 국민이 정책이나 처벌을 요청하는 제도
- 직장 내 괴롭힘 : 상하 관계를 악용한 정서적 폭력
- 젠더갈등 : 성별 간 사회적 인식 차이로 인한 대립
- 1인가구 : 가족 없이 혼자 사는 가구 형태 증가
⑤ 뉴스 단어, 왜 정확히 알아야 할까?
뉴스 용어는 단순 정보 전달을 넘어서 현실 이해력과 해석력에 영향을 줍니다.
예를 들어 “기준금리 인상”이라는 한 마디로도 경제 흐름과 내 지출 구조를 생각해볼 수 있죠.
단어 하나를 정확히 이해하면 뉴스가 훨씬 흥미롭고 실감나게 다가옵니다.
매일 읽는 뉴스, 단어부터 정리해보세요!
📌 핵심 요약 리스트
- 경제 분야: 긴축정책, 기준금리, 인플레이션, 환율
- 정치·사회: 여야, 국정감사, 비리, 청문회
- 국제: 외교 결례, 경제 제재, 수교, G7
- 환경: 기후위기, 탄소중립, 재난지원금
- 사회현상: 젠더갈등, 1인가구, 직장 내 괴롭힘
'지식쌓기 블로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다이어트 : 하루 1,200칼로리 다이어트 식단 완전 정리 (0) | 2025.07.21 |
---|---|
무협지 속 고사성어 총정리|무공과 철학이 만나는 멋진 표현들 (1) | 2025.07.21 |
어른들도 자주 혼동하는 단어 10가지 – 비슷하지만 전혀 다른 표현 (2) | 2025.07.19 |
30대가 자주 듣지만 정확히 몰랐던 단어 10선 – 뜻과 쓰임 정리 (0) | 2025.07.19 |
20대가 헷갈리는 고급 단어 10선 – 어렵지만 꼭 알아야 할 어휘 정리 (0) | 2025.07.19 |